목록알고리즘 (81)
개발하지연

문제 이진트리를 다음의 규칙에 따라 행과 열에 번호가 붙어있는 격자 모양의 틀 속에 그리려고 한다. 이때 다음의 규칙에 따라 그리려고 한다. 이진트리에서 같은 레벨(level)에 있는 노드는 같은 행에 위치한다. 한 열에는 한 노드만 존재한다. 임의의 노드의 왼쪽 부트리(left subtree)에 있는 노드들은 해당 노드보다 왼쪽의 열에 위치하고, 오른쪽 부트리(right subtree)에 있는 노드들은 해당 노드보다 오른쪽의 열에 위치한다. 노드가 배치된 가장 왼쪽 열과 오른쪽 열 사이엔 아무 노드도 없이 비어있는 열은 없다. 이와 같은 규칙에 따라 이진트리를 그릴 때 각 레벨의 너비는 그 레벨에 할당된 노드 중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노드의 열 번호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한 노드의 열 번호를 뺀 값 더하..

문제 증가하는 정수 수열을 이용해서 트리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정수는 트리의 루트 노드이다. 다음에 등장하는 연속된 수의 집합은 루트의 자식을 나타낸다. 이 집합에 포함되는 수의 첫 번째 수는 항상 루트 노드+1보다 크다. 그 다음부터는 모든 연속된 수의 집합은 아직 자식이 없는 노드의 자식이 된다. 그러한 노드가 여러 가지 인 경우에는 가장 작은 수를 가지는 노드의 자식이 된다. 집합은 수가 연속하지 않는 곳에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수열 1 3 4 5 8 9 15 30 31 32를 위의 규칙을 이용해 트리를 만들면 아래 그림과 같이 된다. 두 노드의 부모는 다르지만, 두 부모가 형제(sibling)일 때 두 노드를 사촌이라고 한다. 수열 특정 노드 번호 k가 주어졌을 때, k의 사..

문제 루트가 있는 트리(rooted tree)가 주어지고, 그 트리 상의 두 정점이 주어질 때 그들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Nearest Common Anscesto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은, 두 노드를 모두 자손으로 가지면서 깊이가 가장 깊은(즉 두 노드에 가장 가까운) 노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15와 11를 모두 자손으로 갖는 노드는 4와 8이 있지만, 그 중 깊이가 가장 깊은(15와 11에 가장 가까운) 노드는 4 이므로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은 4가 됩니다. 루트가 있는 트리가 주어지고, 두 노드가 주어질 때 그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기록 (트리 4일차) 풀 수 있는 방법이 많을 것 같은데, 루트 노드를 모르니..

문제 이진 트리는 매우 중요한 기본 자료 구조이다. 아래 그림은 루트 노드가 유일한 이진 트리이다. 모든 노드는 최대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으며, 왼쪽 자식이 순서가 먼저이다. 노드 n개로 이루어진 이진 트리를 BT라고 하자. BT의 노드는 1부터 n까지 유일한 번호가 매겨져 있다. 아래 그림에 나와있는 BT의 루트는 3번 노드이다. 1번 노드는 오른쪽 자식만 가지고 있고, 4와 7은 왼쪽 자식만 가지고 있다. 3과 6은 왼쪽과 오른쪽 자식을 모두 가지고 있다. 나머지 노드는 모두 자식이 없으며, 이러한 노드는 리프 노드라고 부른다. BT의 모든 노드를 순회하는 방법은 전위 순회(preorder), 중위 순회(inorder), 후위 순회(postorder)로 총 세 가지가 있다. 이 세 방법은 ..